[차이나워치] 헝다, 이자 '해결' 했다지만…'시간끌기' 미봉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파산 위기에 몰린 중국 부동산 재벌 헝다가 어제(23일) 일부 채권 이자 지급 문제를 '해결'했다고 밝히면서, 시장의 불안은 다소 진정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말 그대로 급한 불만 껐다는 평가인데요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 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헝다가 내놓은 대책을 두고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헝다가 해결했다고 밝힌 이자는 2억 3,200만 위안, 우리돈 425억 원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것도 온전히 이자를 지급한 것이 아니라 채권 보유 기관과 사적 협상을 통해 지급 시한을 미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더구나 같은 날 만기가 돌아온 달러 채권 이자 8,350만 달러, 우리돈 993억 원에 대해서는 아무 대책도 내놓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헝다가 발행한 채권을 보유한 한 미국 투자자는 어제(23일) 헝다로부터 이자를 받지 못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계약서상에는 이자 지급 예정일로부터 30일 이내까지는 유예기간을 두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헝다가 근본적인 유동성 위기를 넘기지 못하고 30일 동안 시간 끌기에 나선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돈줄이 말라버린 상황에서 헝다는 오는 29일까지 560억 원에 달하는 이자를 또 내야 하고요.<br /><br />올해 말까지는 6억 6,900만 달러, 우리돈 7900억 원에 이르는 채권 이자도 지급해야 해 감당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 때문에 헝다가 시간 끌기를 하더라도 결국은 파산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지 않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헝다의 2대 주주인 투자회사는 이미 1조 원대 투자 손실을 감수하고 보유 중인 헝다 주식 전량을 매각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일부 헝다 채권 보유자들은 어제(23일) 지급되었어야 할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를 접었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파산 수순으로 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, 아직까지 중국 당국은 이렇다 할 입장을 내놓지는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신 중국 당국의 입장을 대변해 온 관변매체 글로벌타임스는 '대마불사'가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는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당국이 헝다 구제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남겼습니다.<br /><br />월스트리트 저널도 중국 당국이 지방정부에 "헝다가 일을 질서 있게 처리하지 못할 경우 막판에 가서야 개입하도록 지시했다"는 소식통의 말을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헝다 사태는 '공동 부유'를 강조하고 있는 중국 당국이 부동산으로 흘러가는 자금을 통제하면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헝다 구제에 나설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관측도 앞서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럼에도 일각에서는 헝다의 부동산 사업 부분을 국유화하는 방식으로 중국 당국이 개입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는데요.<br /><br />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은행권의 전체 자산이 45조 달러, 우리돈 5경 3200조 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헝다의 부채 350조 원 때문에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사태로 번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서도 중국 당국이 나설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헝다의 몸집이 워낙 크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중국의 급속한 경기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, 헝다 사태가 실물 분야와 금융 분야에 걸쳐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킬지 가늠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헝다가 부동산뿐 아니라 금융회사와 전기차, 생수 사업까지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벌여 놓은 만큼 협력업체의 줄도산과 이에 따른 고용불안까지 이어진다면 중국 당국의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아울러 내년 가을 열리는 20차 당대회를 통해 장기 집권을 꿈꾸고 있는 시진핑 주석이 사회 경제적 혼란을 방관하고 있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이 헝다를 3개의 법인으로 나눠 핵심인 부동산 개발 부문을 국유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헝다 상황을 살펴봤고요.<br /><br />다른 소식도 좀 보겠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백악관에서 대중국 견제를 위한 쿼드 정상회의가 열립니다.<br /><br />정상들 간 첫 대면회의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일본, 호주, 인도가 참여하는 협의체인 쿼드의 정상들이 현지시간 24일 첫 대면 회의를 합니다.<br /><br />지난 3월 화상으로 대면한 적은 있지만,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표면적인 논의 주제는 코로나19 백신과 인프라, 기술 문제 등이지만, 쿼드가 사실상 대중국 견제를 위한 협의체라는 점에서 중국을 협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이번 회의는 지난 15일 미국과 영국, 호주가 중국 견제를 위해 결성한 것으로 평가받는 안보동맹 '오커스'를 출범한 이후 처음 열리는 것이기도 한데요.<br /><br />중국의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쿼드 정상회의를 겨냥해 "인도·태평양을 분열시키고,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다양한 세력을 선동하고 있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쿼드의 의제는 왜곡되고 편집증적인 확장으로 가득하다"면서 "미국이 쿼드를 중국 견제용 폭력집단으로 만들려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인민해방군은 쿼드 정상회의를 겨냥한 듯 오늘부터 주말 내내 미중 간 갈등의 최전선 중 하나인 남중국에에서 군사훈련을 펼치며 무력시위에 나섭니다.<br /><br />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2일 유엔 총회 화상연설을 통해 "소집단과 제로섬 게임을 지양해야 한다"며 미국이 안보협의체 구성을 주도하는 것을 비판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